2년 전 정부에서 청년들의 목돈마련을 위해 야심 차게 출시하였던 청년희망적금의 최초 만기일이 드디어 다가오고 있습니다.
매월 최대 50만원씩 2년간 납부하여 이자+저축장려금을 지급하여 목돈 마련을 장려하는 정부의 지원제도였는데요?
2년간 매월 50만원이라는 금액이 부담되어 중도해지한 사례들도 많이 발생하였지만 인고의 시간 끝에 만기금액 수령을 기다리시는 분들도 많으실 거라 예상됩니다.
오늘은 청년희망적금 만기예상금액과 수령방법 그리고 청년도약계좌로 연계하여 추가로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2.청년희망적금 만기일
3.청년희망적금 수령방법
4.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연계 방법
1.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을 알아보기 위해서 은행의 이자, 정부의 저축장려금 그리고 이자소득세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매월 50만 원씩 2년간 납입하여 납입금액이 총 1,200만 원일 때를 가정하면,
- 청년희망적금은 기본금리가 5%로 약 62만 원의 은행이자가 지급
(단, 우대금리 조건에 해당하여 1%의 추가 은행이자를 받게 된다면 약 13만 원의 추가 이자가 지급됩니다.)
- 정부가 지원하는 저축장려금 약 36만 원
이렇게 하여 기본금리 5%(62만 원) + 우대금리 1%(13만 원) + 저축장려금(36만 원) 하여 총 111만 원의 소득을 받아 최대 1,311만 원의 만기금액을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 참고
단! 여기서 주의할 점 한 가지!
청년희망적금은 비과세 혜택이 주어진 상품이지만 만약 가입 시점에는 청년희망적금 가입 조건에 부합하였지만, 가입 이후라도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이자소득에 대한 소득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비과세가 적용되었고 매월 50만원을 2년간 만기 납입한 경우 기존대로 총 111만원의 추가 소득 수령
- 비과세 혜택을 받지 못하고 매월 50만원을 2년간 만기 납입한 경우 약 10만원의 이자소득세를 제한 금액인 약 101만원의 소득 수령
가입 이후라도 본인이 비과세 적용 대상자인지 아닌지 확인하시어 혼란이 없으시길 바랍니다.
2. 청년희망적금 만기일자
청년희망적금은 2022년 2월부터 시행된 제도로 올해 2024년 2월부터 만기 수령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본인이 가입한 은행의 어플에 접속하셔서 본인의 만기일자를 확인 가능합니다.
3. 청년희망적금 수령방법
청년희망적금 만기 시 수령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일반적금과 동일한 형태로 지급이 진행되며,
만기일 이후 본인이 가입한 은행의 영업점에 방문하여 만기해지 후 지급받거나, 은행 어플에 접속하여 수령 선택 후 입출금 통장으로 만기금액을 지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4.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연계 방법
청년희망적금을 만기 했음에도 추가적으로 목돈 형성을 하고자 하는 분들이 계실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이러한 분들을 위해 정부에서 청년도약계좌와 연계하는 방안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사실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는 중복 가입이 되지 않아 미리 출시된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한 분들은 아쉬운 상황이었는데요.
다행히도 청년희망적금의 만기금액을 청년도약계좌로 연계하여 목돈마련을 이어나가는 방법이 있어 공유드리겠습니다.
우선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면
청년도약계좌 | |
가입 대상 | 만 19세 이상 ~ 34세 이하 청년(단, 병역이행기간은 제외) |
소득 요건 |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및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
납입 형태 | 적금형과 투자형 둘 중 택1 |
납입 금액 | 매월 40만원에서 최대 70만원까지 가능 |
정부지원금 | 3% ~ 6%(매월 지급) |
납입기간 | 5년 |
위와 같은 상품인데요? 추후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도 알아보는 글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청년희망적금을 청년도약계좌로 연계가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 만기 시 추가 소득이 얼마가 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매월 50만 원, 2년 납입 기준) 만기금액을 청년도약계좌로 일시 납입할 경우
청년도약계좌에 18개월간 70만 원씩 납입한 것으로 인정해 주는 방안으로
이럴 경우 청년도약계좌의 남은 납입기간인 19개월 차부터 60개월 차까지 매월 최대 70만 원을 납입하였을 경우
이자소득 263만 원 + 정부지원금 144만 원을 받아 총 407만 원의 만기 시 추가 소득을 받아가실 수 있습니다.
이 글을 본 다른 방문자가 찾은 글
이외에도 청년 혹은 신혼부부를 위한 일상에 유용한 지원정책들이 있으니
함께 알아보시고 많은 지원혜택 받아가시길 바랍니다 :)
1. [클릭하여 바로가기] 육아휴직시 부부 최대 3,900만 원 지원받는 방법
2. [클릭하여 바로가기] 신혼부부의 내 집마련을 위해 낮은 금리로 대출받는 방법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자격 및 신청방법, 사용처 feat. 훈련장려금 (0) | 2024.01.13 |
---|---|
청년도약계좌 총정리(조건, 신청방법, 금리, 정부기여금 등) (1) | 2024.01.10 |
6+6 부모육아휴직제 총정리(지원금액, 지원조건, 신청방법 등) (0) | 2024.01.04 |
[추석이벤트] 추석맞이 1인 최대 1만원 캐시백 이벤트 총정리(착한가격업소) (0) | 2023.09.13 |
[추석지원금] 신청 안하면 못받는 90여개 지자체 추석지원금 총정리(장수수당, 효도수당 등) (2) | 2023.09.12 |